Untitled Document
 
Untitled Document
2025년 04월09일 00:46 ( 수 요일)
Untitled Document
 
 
  Untitled Document
 

  
갯벌은 조수가 드나드는 바닷가나 강가의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입니다.
갯벌은 일반적으로 조류로 운반되는 모래나 점토의 미세입자가 파도가 잔잔한 해역에 오랫동안 쌓여 생기는 평탄한 지형을 말한다. 이러한 지역은 만조 때에는 물 속에 잠기나 간조 때에는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이 특징이며 퇴적물질이 운반되어 점점 쌓이게 된다.

[어류 패류의 생산 및 서식지 기능]

갯벌은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점인 점이적인 환경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어류 230종, 게류 193종, 새우류 74종, 조개류 58종 등의 생물 종이 다양하며,다양한 생물 등이 서식할 만큼 영양염류가 풍부하고 그만큼 생산성이 높다.

실제로 갯벌은 생산성이 육지에 비해 9배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갯벌의 어류 생산성은 에이커당 10톤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연안해양 생물의 66%정도가 갯벌지역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어업활동의 90%가 갯벌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또한 갯벌지역은 대부분의 해안생물과 조류들의 먹이 섭취장소이고 번식장소이다. 해양수산부 자료에 의하면, 한강하구 경우 지구상에 존재하는 재두루미 3,000여 마리 가운데 10%가 넘는 385마리가 관찰되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갯벌은 자연에서 가장 높은 가진 환경 중의 하나로 외양에 비해 10-20배, 농지나 산림 지역이 3-10배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정화 기능]

우리나라는 연안을 따라 여러 도시와 산업지역이 형성되어 있어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다. 이 오염물질이 연안으로 유입되면 가장 먼저 갯벌지역과 만나게 되어 갯벌지역의 가장자리에서 서식하고 있는 염생 식물에 의해 자연정화 되고 있다. 이는 갯벌생태계가 가지고 있는 자정능력으로, 염생식물(칠면초, 갈대 등)과 저서규조류, 미생물에 의한 흡수와 분해가 일차적으로 활발히 진행된다.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는 갯벌자체에서 생활하고 있는 박테리아 뿐 아니라 갯벌에 서식하는 다른 생물들도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갯벌 1㎢에 있는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능력은 도시하수처리장 1개의 처리능력과 비슷하고, 500마리의 갯지렁이는 하루에 한사람이 배출하는 2kg의 배설물량을 정화시킬 정도라고 합니다.

갯벌의 정화능력은 갯벌의 조성 및 유기물 함량 등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유기물의 함량이 높은 지역이 낮은 지역에 비해 자연 정화 능력이 2-10정도 높다.

또한, 갯벌의 오염정화능력은 서해안지역에서는 적조의 발생이 거의 없었다는 점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조간대에 퇴적된 퇴적물에 함유된 비료성분을 조사하면 세립질 퇴적물의 함량이 많은 조간대나 만의 퇴적물의 함량이 많은 조간대나 만의 퇴적믈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퇴적물은 표면에 비료성분이나 중금속 등을 흡착, 침전시켜 조간대에 퇴적되므로 해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중요 기작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홍수 및 태풍조절기능]
갯벌은 육상생태계와 해양생태계 사이에 놓여 있어 두 환경사이에 완충작용을 한다. 갯벌은 그 지역의 수계의 흐름에 영향을 주어, 홍수에 따른 물의 흐름을 완화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여 물의 흐름을 장기간에 걸쳐 조금씩 흘러 보낸다. 갯벌은 단기간 홍수량을 조절하여 홍수에 따른 인명 및 재산피해를 감소시킨다.

또한 태풍이나 해일이 연안 가까이 다가오면 이를 일차적으로 흡수하고 태풍의 영향을 감소하는 완충역할을 한다. 따라서 갯벌은 태풍으로부터 육지지역에 대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연재해와 기후 조절 기능]

갯벌은 마치 스펀지처럼 홍수나 빗물 등을 흡수한 뒤 천천히 내보냅니다.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높은 수위를 일단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의 하구나 바닷가의 침식을 막고 홍수 피해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또한 대기온도와 습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기후조절의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문화적 기능]

갯벌은 낚시나 해수욕, 휴식, 관광 등을 제공하는 레저 공간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종합적 문화공간으로서 뿐만 아니라 총체적 자연교육의 장으로서도 가치가 높아 수많은 학생들이 갯벌을 찾아 해양생태계와 생물관찰 등의 체험학습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갯벌의 문화적 가치 등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가치의 계량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루이지애나 갯벌의 관광객은 관광지역 30에 대하여 당 오락적 목적으로 $81,500(1996년 기준)을 지불할 의사를 가지고 있으며 플로리다주의 연간 오락적 가치는 당 $19,800(1984년) 이다.

  경제적 가치

갯벌은 어민들에게 있어 경제, 곧 돈을 의미하는 삶의 터전이며 우리 식탁에 오르는 해산물의 2/3 이상이 이들이 잡고 기른 어패류입니다. 갯벌은 밀물과 썰물이 항상 드나들어서 산소가 풍부하고 유기물이 많기 때문에 생물의 종류가 다양합니다. 대부분 어패류의 먹이섭취와 번식장소로 이용되므로 어업활동의 90%가 갯벌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갯벌은 농경지와 바다보다 약 3배에서 20배의 생산성을 가진다고 하니 그 경제적 가치는 참으로 큰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갯벌의 기능과 직접 관련이 있다. 영국의 과학전문지인 Nature에 의하면 갯벌의 생태적 가치는 1(0.01)당 US$ 9,990으로 농경지의 가치인 US$ 92보다 100배 이상의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환경부에서 평가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 나라 갯벌의 가치를 Nature보다는 높은 US$ 24.315로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나라 갯벌이 수산물의 생산과 어류의 서식지로서 그 가치가 외국보다 높기 때문이다.
다만, 환경부에서 평가한 자료에서는 갯벌의 자연재해조절 항목과 원료공급 항목을 평가하지 않았는데 이를 추가하여 평가하면 우리 나라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1당 US$ 27,316에 달하여 Nature의 평가보다 약 2.7배 가량 높다고 한다.(이흥동, 1997)

  갯벌에 사는 생물

[환형동물]

다모류(多毛類)라고도 하며 거의 모든 종류가 바다에서 산다.
갯벌에서 사는 환형동물은 모두 몸에 가시가 나 있는 갯지렁이류이다(다모류, polychaete). 몸에 가시가 없는 육상의 지렁이(빈모류, oligochaete)와는 달리 형태가 다양하다.

환형동물은 갯벌에서 종류와 양이 가장 많은 생물군이다. 주요 종류로는 참갯지렁이, 흰이빨참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버들갯지렁이, 집갯지렁이, 바위털갯지렁이, 털보집갯지렁이, 괴물유령갯지렁이, 제물포백금갯지렁이 등이 있다. 이들은 굴이나 관을 만들어 살기도 하고, 일부는 물속에서 헤엄을 치기도 한다.

[절지동물]

새우, 집게, 갯가재, 방게, 농게, 콩게, 밤게, 길게, 칠게 등 주로 물 속에 사는 동물들이 포함된다. 대부분 바다에 살지만 민물에 사는 종도 많다.

[연체동물]

조개, 고둥, 문어, 오징어 등을 포함하며 체제의 변화가 많은 동물군을 말한다.

우리나라 갯벌에서는 흔하게 관찰할 수 있는 종류로는 백합, 피조개, 고막, 바지락, 가무락, 맛조개, 동죽, 개량조개, 굴, 홍합, 참고둥, 큰구슬우렁이, 대수리, 낙지, 주꾸미 등 다양하다

[극피동물]

불가사리와 성게, 해삼등을 포함한다.
우리나라의 갯벌에서는 아무르불가사리, 별불가사리, 긴팔거미불가사리, 가시닻해삼류 등이 흔하게 보이며 재생력이 강하다. 특히 우리나라 조간대 하부의 모래펄 속에 가시닻해삼이 대단히 많이 나오는데 생태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종이다.

[자포동물]

산호, 해파리, 히드라, 말미잘 등의 자포동물(刺胞動物)은 대부분 바다에 살며 히드라충류의 일부만 기수나 민물에 산다.

대표적인 자포동물인 말미잘은 몸의 구조가 간단하고 부드러우며 입은 항문의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갯벌에서 볼 수 있는 대형 저서동물 중에서는 가장 하등한 부류에 속한다. 입 주위에는 자포를 구비한 촉수를 여러 개 가지고 있다. 갯벌에서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 종류로는 측해변말미잘, 담황줄말미잘, 바다선인장, 바다조름류, 히드라충류 등이 있다.

갯벌에 사는 바다새들 

도요새류,물떼새류,갈매기류,오리류,백로류등...  

 

 

 

 
 
 
 
 
 
 
 
 
Untitled Document